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에 금이 가거나 균열이 생기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해 얼마 사용을 하지 못하고 버리게 된다. 우리의 인체 또한 마찬가지로, 치아나 뼈 등에 금이 가면 통증을 유발하게 되면서 일상생활을 하는 데에 있어 많은 지장이 생긴다. 이 중에서도 매일 음식물을 씹어서 섭취하고, 무언가를 마시는 데에 있어 항상 닿는 부위인 치아에 크랙이 발생할 경우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치아 크랙은 말 그대로 단단하고 튼튼한 치아에 금이 가고 균열이 생긴 것을 말한다. 딱딱하고 단단한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이들, 치아로 얼음을 깨 먹는 습관이 있는 이들, 이를 악 무는 습관이 있거나 수면 중 이갈이를 하는 경우, 외부의 충격을 받은 경우 등에 치아 크랙이 생길 수 있다.
치아에 생긴 아주 미세한 균열은 육안으로 확인을 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무언가를 먹거나 마실 때에 치아가 시리고 찌릿한 증상이 있어 치과를 내원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차가운 음료나 딱딱한 음식을 씹는 등 외부 자극, 저작 활동을 했을 때 치아 크랙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별 다른 자극이 없었는데도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치아의 가장 바깥층인 법랑질에만 금이 갔다면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불편감이 있거나 통증이 있을 시 수복치료를 해야 한다. 만약 증상이 지속될 경우 신경까지 손상이 됐는지를 확인한 후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 수복을 해야 한다.
특히 치아에 금이 갔을 때 정확히 검사를 하지 않거나 별 다른 치료 없이 방치를 했다면 점점 손상 부위가 넓어져 치아가 깨지고 파절 될 수 있다. 치아 머리의 일부만 깨졌다면 비교적 간단하지만 치아 뿌리까지 손상을 받았을 경우 신경에도 문제가 생겼을 수 있으니 면밀하게 진단을 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간혹 치아에 균열이 일어난 것을 알고 있지만 통증이 없어 그대로 두는 경우가 있고, 통증이 어느 순간 사라져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치아에 이미 생긴 균열, 금이 소실되는 것이 아니고 치아가 다시 붙거나 회복되는 것이 아니므로 치료를 해야 한다. 치아는 다시 재생이 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자연치아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치료를 할 필요가 있다.
파인타워치과 이경범 원장은 “치아에 한번 발생한 크랙은 검진을 통해 별 다른 증상이 없을 시 주기적으로 검사를 해 지켜보게 되는데, 치료가 필요하다면 저작 시 찌릿함과 시림 등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 후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더 이상의 치아 균열, 파절이 생기지 않도록 크라운 치료를 해야 하며 증상이 있다면 신경치료를 한 후 증상 소실 확인 후 약한 치아를 보호하는 크라운을 씌워서 마무리해야 한다. 개개인의 치아 균열, 파절 상태 등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자연치아를 최대한 살려야 하므로 보존과 전문의가 직접 진료를 하는지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혜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