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오는 26일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금융권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노조는 주 4.5일제 도입과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과 입장차가 크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지난 1일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94.98%의 찬성률로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했다. 총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2022년 이후 3년 만에 은행권 파업이 된다.
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임금 5% 인상 ▲주 4.5일제 전면 도입 ▲신규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주 4.5일제가 핵심 쟁점이다. 금융노조는 2022년부터 제도 도입을 주장해왔으며, 이를 저출산·저성장 문제 해결 방안으로 강조하고 있다.
임금 인상률을 두고도 이견이 크다. 노조는 5%를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2.4%를 제시했다. 지난해에도 비슷한 상황에서 최종 2.8% 인상으로 합의해 파업을 피한 바 있다.
다만 이번 파업이 여론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주요 은행의 평균 연봉은 이미 1억 원을 넘어섰고, 상반기 급여 수준은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를 크게 웃돌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임금 인상과 근무일 단축 요구는 국민적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2022년 파업 때에도 5대 은행 참여율은 0.8%에 그쳤다.
금융노조는 오는 8일 기자간담회와 16일 광화문 결의대회를 통해 투쟁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