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자동차 수출 호조 등과 함께 지난 7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7개월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107억8000만달러(약 15조원) 흑자로 집계됐다.
6월(142억7000만달러)보다 줄었지만, 7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일 뿐 아니라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27개월 연속 흑자 기록이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601억5000만달러)도 지난해 같은 기간(492억1000만달러)보다 약 22% 많다.
항목별로는 7월 상품수지 흑자(102억7000만달러)가 월 기준 역대 3위였던 6월(131억6000만달러)보다 약 29억달러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7월(85억2000만달러)보다는 약 18억달러 늘어 역대 같은 달만 비교하면 세 번째로 많다.
수출(597억8000만달러)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 불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두 달 연속 증가세지만, 6월(603억7000만달러)보다는 1.0% 감소했다.
통관 기준으로 특히 반도체(30.6%)·승용차(6.3%) 등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높았다. 반대로 컴퓨터주변기기(-17.0%)·의약품(-11.4%) 등은 줄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7.2%)·EU(8.7%)·미국(1.5%)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중국(-3.0%)·일본(-4.7%)에서 고전했다.
수입(495억1천만달러)의 경우 작년 같은 달보다 0.9% 줄었지만, 올해 6월보다는 4.9% 늘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에너지 가격이 낮아졌지만, 전월보다 에너지류 수입 물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원유(-16.7%)·석유제품(-5.8%) 등 원자재 수입은 작년 7월보다 4.7% 축소됐다. 반대로 반도체제조장비(27.7%)·정보통신기기(12.6%)·반도체(9.4%) 등 자본재 수입은 6.2%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1억4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25억3000만달러)이나 지난해 같은 달(-23억9000만달러)보다 줄었다.
김민지 기자 minji@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