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가 25일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조7648억원으로 24.1% 감소했다고 25일 밝혔다.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7860억원의 이익이 줄어들면서 영향을 미쳤다.
다만 2분기 매출액은 29조34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늘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기아의 2분기 경상이익은 3조32억원(25.7%↓), 당기순이익은 2조2682억원(23.3%↓)을 기록했다. 도매 기준 판매량은 81만4888대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국내 판매는 타스만과 EV4 등 신차 효과로 14만2535대를 기록하며 3.2% 증가했다. 해외 판매는 미국과 인도 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2.3% 늘어난 67만2353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판매는 18만5000대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하이브리드 판매는 11만1000대로 23.9% 급증했다.
전기차는 5만9000대(8.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1만6000대(16.8%↓)를 기록했다. 글로벌 판매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3.4%로 2%포인트 상승했다.
기아는 글로벌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과 소비 심리 위축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하반기 신차 출시와 전동화 전략으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EV5와 PV5 출시로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하고, 미국 시장에서는 하이브리드 공급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유럽에서는 EV4, EV5 등 전기차 신모델로 전동화 경쟁력을 높이고, 인도 시장에서는 현지형 전기차 카렌스 클라비스 EV를 통해 전기차 입지를 확대한다.
기아 관계자는 “미국 관세로 손익이 악화했지만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판매 확대,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전략으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EV 라인업과 PBV 신모델을 통해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