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비즈=송정은 기자] CJ대한통운이 풀필먼트센터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동해 택배 박스를 최적화 한다.
CJ대한통운은 군포 풀필먼트센터 상품들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패키징’ 기술을 적용해 배송박스 평균 크기를 10% 가량 축소시켰다고 25일 밝혔다.
빅데이터 패키징은 상품별 체적 데이터와 주문정보를 조합해 박스 크기를 재설계하고, 주문에 맞춰 최적화된 박스를 사용하는 CJ대한통운만의 포장 기술이다. 기존에는 모든 풀필먼트센터들이 동일한 종류의 박스를 사용했지만 이후에는 ‘센터별 맞춤형 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3개월 동안 소비자들이 주문한 상품의 종류와 수량을 바탕으로 112억 가지 경우의 수를 조합해 9종의 최적화된 박스 크기를 찾아냈다”며 “최적 박스는 다음 달 군포 풀필먼트센터부터 적용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현재 군포 센터에서 출고되는 박스의 약 75%는 현장에서 직접 제함되며, 나머지는 판매자가 요청한 박스로 출고된다.
소형화된 배송박스가 널리 쓰이게 되면 박스 내 빈공간이 함께 줄어들고, 상품 보호를 위해 넣는 완충재를 더 적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과대포장을 방지해 친환경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CJ대한통운은 자사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 주문에 맞춰 빈공간이 최소화되는 박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물류작업에 투입하고 있다.
박스 크기 축소로 차량 적재함에 실리는 박스 수량이 늘어나는 등 물류 효율성과 적재 효율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존 물류업체들이 소비자 주문에따라 동일한 규격의 박스를 일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작업자가 원하는 박스 크기를 시스템에 설정하고 해당 규격의 박스를 설비에 놓으면 자동으로 제함되는 ‘스마트 패키징’ 시스템을 통해 최적화된 박스를 사용하고 작업 효율성도 높안다.
CJ대한통운은 향후 곤지암, 용인 등 다른 풀필먼트센터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확대하고 각 센터의 상품에 최적화된 박스를 설계·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 남기찬 경영리더는 “체계적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박스 크기를 줄이고 완충재 사용량을 낮춰 물류 효율과 친환경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혁신적인 첨단 물류기술을 활용해 판매자와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johnnysong@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