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애플의 신형 스마트폰인 아이폰17 시리즈에 대해 최대 45만원의 공통지원금을 책정했다. 1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아이폰17 시리즈의 지원금 내역을 사전 공개했으며, 최종 지원금은 오는 19일 공식 출시일에 확정될 예정이다.
이번 지원금은 아이폰17 시리즈를 ‘프로맥스’, ‘프로’, ‘에어’ 등으로 구분해 요금제별로 차등 적용된다. 특히 프로와 에어 모델의 경우 3사 모두 최대 45만원의 공통지원금을 설정했으며, 여기에 추가지원금을 더하면 최대 51만7500원까지 받을 수 있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로 추가지원금 상한 규제가 사라졌지만, 3사는 기존 비율과 동일하게 15%인 6만7500원으로 책정했다.
아이폰17과 프로맥스 모델의 최대 공통지원금은 SK텔레콤이 26만원, KT가 25만원, LG유플러스가 23만원이다. 추가지원금까지 포함할 경우 각각 29만9000원, 28만7500원, 26만4500원이 된다. 이와 함께 유통점에서 자체적으로 지급하는 추가 지원금까지 더해지면 소비자가 실제로 부담하게 되는 단말기 가격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번호이동을 하거나 고가 요금제를 선택할수록 지원금 규모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그동안 단통법 폐지 이후 잠잠했던 보조금 경쟁이 아이폰 신제품 출시를 계기로 다시 불붙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과도한 경쟁으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신중한 분석도 있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시장 자체가 무리한 가격 경쟁 없이 어느 정도 안정된 상태에 들어섰다”며 “최근 연이어 발생한 보안 사고로 인해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기에도 조심스러운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