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계와 노동계가 중대재해 근절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김종윤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 등 정부 관계자와 경영자총협회, 제조업 업종별 협·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업 안전인식 제고 및 모범사례 공유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산업현장의 중대재해 근절을 주제로 개최된 지난달 29일 국무회의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 사례 등 산업재해가 반복되는 실태를 강하게 질타하며 후진적 산업 재해를 추방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재해율이 높을수록 기업생산성이 낮아져 안전에 대한 투자가 결국 기업의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연구 결과를 설명했고, 업계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이상징후 감지 시스템 등 산업 현장 안전성을 높이는 모범사례를 활발하게 공유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발표된 모범 사례가 산업계에서 적극 홍보 및 확산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들의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제조업을 비롯한 모든 업종에서 노동자 안전이 비용이 아닌 꼭 필요한 투자로 보고 안전성을 높이는 기업 스스로의 노력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정부는 제조안전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하고, 산업단지 스마트 안전 솔루션을 보급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종윤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비용절감을 이유로 노동자의 안전을 소홀히 해서는 결코 안 되며, 산업재해 예방은 노사 모두의 이익인 만큼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달라”면서 “올해가 산업재해 사망사고 근절의 원년이 될 수 있도록 노사와 업종별 협단체가 함께 책임감을 갖고 적극 협력해 달라”고 강조하였다.
산업부와 노동부는 업종별 협·단체와 실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산업현장에서의 안전투자 관련 애로 발굴·개선에 적극 노력하고, 기업과 함께 업종별 안전포럼을 개최하는 등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지속할 계획이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