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사망사고 근절 원년”... 산업계·노동계 머리 맞댔다

서울 중구 달개비 콘퍼런스장에서 열린 중대 재해 근절을 위한 산업·노동 합동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이야기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산업계와 노동계가 중대재해 근절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김종윤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 등 정부 관계자와 경영자총협회, 제조업 업종별 협·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업 안전인식 제고 및 모범사례 공유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산업현장의 중대재해 근절을 주제로 개최된 지난달 29일 국무회의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 사례 등 산업재해가 반복되는 실태를 강하게 질타하며 후진적 산업 재해를 추방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재해율이 높을수록 기업생산성이 낮아져 안전에 대한 투자가 결국 기업의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연구 결과를 설명했고, 업계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이상징후 감지 시스템 등 산업 현장 안전성을 높이는 모범사례를 활발하게 공유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발표된 모범 사례가 산업계에서 적극 홍보 및 확산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들의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제조업을 비롯한 모든 업종에서 노동자 안전이 비용이 아닌 꼭 필요한 투자로 보고 안전성을 높이는 기업 스스로의 노력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정부는 제조안전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하고, 산업단지 스마트 안전 솔루션을 보급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종윤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비용절감을 이유로 노동자의 안전을 소홀히 해서는 결코 안 되며, 산업재해 예방은 노사 모두의 이익인 만큼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달라”면서 “올해가 산업재해 사망사고 근절의 원년이 될 수 있도록 노사와 업종별 협단체가 함께 책임감을 갖고 적극 협력해 달라”고 강조하였다.

 

산업부와 노동부는 업종별 협·단체와 실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산업현장에서의 안전투자 관련 애로 발굴·개선에 적극 노력하고, 기업과 함께 업종별 안전포럼을 개최하는 등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지속할 계획이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