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16일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를 열고 사흘째 후보자 검증을 이어갔다. 국회는 이날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등 3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각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열었다. 특히 야당은 이 후보자에 대해 제자 논문 가로채기 및 논문 표절과 자녀 유학 관련 등 주요 의혹에 대해 공세를 펼쳤다.
이날 인사청문회에서는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 등 학문 윤리에 대한 검증과 자녀 유학 등 대한 검증이 이어졌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범학계 국민 검증단이 발표한 카피킬러를 활용한 이 후보자의 표절율이 52~56%에 달한다”며 “특히 제자들의 학위 논문을 오탈자 하나 수정하지 않고 베꼈다”고 지적했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 역시 “제자 학위 논문과 후보의 논문에 유사한 표가 굉장히 많다. 논문마다 17개, 21개까지도 같은 표가 나온다. 제자의 논문과 후보자의 논문이 사실상 동일하다”며 “실험을 주도한 사람이 제1저자가 돼야 하고, 교수는 교신 저자로 들어가야 한다. 왜 모든 논문에 후보자가 제1저자로 들어갔느냐. 이 후보자가 욕심을 부린 것이 아니냐”고 질타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혹들이 생긴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다만 의혹이 생긴 것 자체에 대해서는 사과했지만 논문 표절·편취 의혹은 모두 일축했다. 이 후보자는 “지난 30여년간 저는 학자적인 양심에 따라 학문의 진실성 탐구를 해왔고 제자들을 양성했다”며 “대부분의 연구가 학생이 학위논문을 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제가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제자는 연구를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져간 간 것이다. 같은 실험을 했기 때문에 논문에 담긴 표 등이 같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면서도 “다만 세심하지 못해 발생한 오탈자 등은 가장 큰 실수”라고 인정했다.

야당 의원들은 이 후보자의 자녀 유학과 관련해서도 공세를 이어갔다. 이 후보자는 “부부가 2001년부터 방문연구원으로 미국에 체류한 적이 있었다. 그 기회가 계기가 돼서 고등학교 때 큰 아이가 미국에서 공부하기를 희망했고, 워낙 의지가 강해서 유학을 보냈다”고 해명했다. 또한 차녀가 중학교 3학년 재학 중 미국 유학을 간 것에 대해서는 “둘째는 미국과 한국의 학제가 다르다 보니 생긴 일이다. 이것이 불법에 해당하는지조차 인식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큰 실수에 대해 국민에게 송구한 마음 금할 수 없다”고 재차 고개를 숙였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대한민국은 선택의 자유가 있기에 본인이 어떤 선택을 했든 본인 돈으로 한 것은 괜찮다. 그러나 공교육의 수장이 될 때는 다른 얘기”라며 “이 후보자 자녀가 다녔던 미국 명문 사립 기숙학교 학비가 2025년 기준으로 1인당 1억300만원이다. 2명의 자녀가 3년 동안 다닌 학비가 6억2000만원”이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자는 “부부 모두 대학교수로 성실히 생활했다. 다른 재산 없이 오로지 저축으로 생활해왔다”며 자녀 유학비용 내역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하는 야당의 요구에는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서 스스로 평가해달라는 질문에는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직장 내 괴롭힘 의혹도 새롭게 불거졌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이 이날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후보자가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당한 게 2건 있었다”며 진정서 등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현정민 기자 mine0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