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대수가 3월 말 기준 3만9216대로 4만대 돌파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올해 승용 수소전기차 신모델 출시와 함께 1만3000대 분의 정부 구매보조금이 확정된 점을 고려하면 5만대 시대를 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관련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해 시급한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수소전기차는 지난 2018년 승용 수소전기차인 넥쏘가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2년 만인 2020년에 누적 보급대수 1만대를 넘어섰다. 이후 2만대를 돌파하는 데는 2년이 채 걸리지 않았으며, 2023년에는 3만대에 도달하는 등 수소전기차 보급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특히 환경부가 승용차 1.1만대, 수소버스 2000대에 대해 7218억원의 구매 보조금을 확정함에 따라 수소전기차 보급은 5만대를 넘어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 수소전기차 누적 등록대수 올해 5만대 돌파 예상
국내에 보급된 수소전기차를 차종별로 살펴보면, 넥쏘 등 승용 수소전기차가 3만7227대, 수소전기버스가 1939대, 수소전기트럭 50대로 구성돼 있다. 국내 수소전기차의 94.9%가 승용모델이며, 승용수소전기차의 대부분은 지난 2018년에 출시한 현대차 넥쏘다. 특히 올해 상반기 넥쏘의 후속모델인 ‘디 올 뉴 넥쏘’가 출시될 예정이어서 일반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승용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승용모델 외에 버스도 수소전기차 확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수소전기차는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길어 장거리 운행면에서 강점이 크기 때문에 도시 간 광역버스, 시내버스, 기업 통근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2019년 도심형 수소전기 시내버스 일렉시티 FCEV를 처음 선보인데 이어 2023년에는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탑재한 고속형 대형버스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차는 인천, 전북, 충남, 울산 등 주요 광역자치단체와 수소전기버스 보급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등 공공시장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 정부가 수소전기버스 2000대에 구매 보조금을 지급키로 함에 따라 계획대로 보급이 완료되면 올해 국내 친환경 버스 시장은 수소전기버스와 전기버스가 양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지난 1월에는 환경부, 원더모빌리티, 효성하이드로젠, 삼성물산(에버랜드)과 수소전기 통근버스 도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수소전기버스 생태계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어 보급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충전사업자의 도심 부지확보 어려움…세제혜택 등 지원 절실
전국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4월 말 기준으로 총 218개소에 이름. 지역별로는 경기가 38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경남 23개소, 충북 22개소 순이다.
서울에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문과 서울시 서소문청사, 서초구 양재동, 강동구 상일동, 강서구 마곡동 등 9곳이 있다. 일부 도심 충전소는 이용자들의 충전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예약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수소전기차가 5만대를 넘어 대중화 초입단계까지 진입하려면 이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내연기관 차량처럼 원활하게 수소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도심 충전소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현대차가 상대적으로 설치에 제약이 적은 ‘고압 이동형 수소충전소’ 개발을 완료함에 따라 도심 수소충전소 확충에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도 충전사업자의 도심 내 부지확보와 경영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세제혜택 등의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 수소산업 전문가는 “전국 관공서와 정부기관, 공기업 등에 최우선적으로 수소충전소를 설치한다면 도심 충전소 개수를 대폭 늘릴 수 있다”며, “도심 내 충전소가 확대되면, 수소전기차 고객들의 편의가 획기적으로 높아질 뿐 아니라 이용자 증가로 충전사업자들의 재무상태도 개선돼 충전소 확대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