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업권는 지난해 4000억원 가까이 순손실이 나며 2년 연속 적자를 보였다. 연체율 또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로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397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5758억원) 대비 손실 규모는 축소됐지만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이다. 저축은행은 PF대출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2022년 2조5731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2023년에는 3조8881억원, 지난해에는 3조7101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다.
충당금을 쌓으면서 총자산이 줄어든 것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총자산은 지난해 말 120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26조6000억원) 대비 5조7000억원 줄었다.
특히 경기회복 지연,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기업대출 위주로 대출자산이 줄었다. 지난해 말 기업대출은 49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조5000억원(16.1%) 감소했다. 반면, 가계대출은 40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5000억원(3.8%) 늘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 적자가 끝난 것으로 보였는데 4분기에 금융당국에서 충당금 요청이 있었고 400억원을 더 쌓았다”며 “이에 4000억원 가까운 적자가 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말까지는 (실적)플러스 요인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이면서도 부동산 매각 속도에 따라 플러스로 전환될 부분이 나타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산건전성도 악화돼 연체율이 상승했다. 지난해 말 연체율은 8.52%로 전년 말 대비 1.97%포인트 상승했다. 이 기간 가계대출은 4.53%로 0.48%포인트 하락했지만 기업대출은 12.81%로 4.79%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10.66%로 전년 말보다 2.91%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부실채권 매각·상각 규모는 6조원으로 전년 말 3조8000억원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02%로 나타났다. 전년 말(14.35%) 대비 0.67%포인트 상승했다. 법정기준 BIS비율은 자산 1조원 이상 8%, 1조원 미만 7%로 2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유동성비율은 181.92%로 법정기준 100% 대비 81.92%포인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13.23%로 법정기준 100% 대비 13.23%포인트 각각 초과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거시 경제적 불확실성 증대와 거래자 상환능력 저하 지속 등으로 수익성과 건전성 지표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며 “경영안정성 종합지표인 BIS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인 15%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등 자본충실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전날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부실로 불황에 빠진 저축은행 시장의 자율 구조조정을 위해 인수합병(M&A) 규제를 2년간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적기시정조치 대상을 포함해 최근 2년간 분기별 경영실태 계량평가에서 자산건전성 4등급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도 구조조정 대상이 되도록 한다. 또한 구조조정 대상을 자기자본 비율 9%에 미달한 ‘그레이 존’ 저축은행에서 자기자본 11%에 미달한 곳까지 확대한다.
당국은 부동산 PF 대부모 부실 사태 이후인 2017년 저축은행 간 M&A 규제를 강화했다. 전국을 6개 영업구역으로 나눠 다른 지역으로의 구역 확대를 금지했다. 최대 4곳까지 영업구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했는데,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진출은 막았다. 이번 규제 완화로 수도권 저축은행도 M&A 허용 범위를 늘렸다.
중앙회 관계자는 “현재 M&A 규제는 수도권에 집중된 상태로 이번 규제 완화는 방향성은 최대한 열어준 것”이라며 “범위가 넓은 수도권 저축은행이 (규제 완화) 대상이 돼 업계에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