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 향상에 힘쓴다” 농림부, 2025년 업무계획 전해

-송미령 장관 주재 현장간담회로 관련 관계자와 소통
-가축 방역 및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성장모델도 제시

농림부가 동물복지 향상 등 2025년 업무계획을 업계 종사자 및 관계자들에게 전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성장모델 구축’ 현장 간담회에서 동물복지, 가축방역,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분야의 새해 업무계획을 전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9일 경기 여주시의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 ‘반려마루’에서 송미령 장관 주재로 동물보호 단체, 농업인 단체, 축산 단체, 펫사료 협회, 수의사 협회 관계자들에게 정책을 설명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농림부는 올해 ‘제3차 동물복지 종합계획’ 및 ‘제1차 동물의료 육성·발전 종합계획’ 등을 마련한다. 동물학대 예방, 동물보호 인프라 확충, 반려문화 확산 및 연관 산업에 이르기까지 적극적 복지체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개식용 종식도 조기 전·폐업 인센티브와 이행 점검·단속 병행을 통해 이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동물등록 의무 대상을 동물생산업장의 부모견까지 확대한다. 자견 정보와 연동·전산화를 해서 무허가 생산·판매업자의 경매 참여에 따른 불법 동물 유통과 사기 분양(잡종을 순종으로 속여 판매) 피해를 예방하고, 모견의 출산 휴식기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반려동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내과·안과(예시) 등 보다 특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수의전문의 제도를 신설하고,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반려동물 상급병원을 도입하는 등 동물의료 체계도 정비할 계획이다.

 

가축 방역 분야는 올해부터 2029년까지 진행 예정인 ‘중장기 가축방역 발전 대책‘을 마련해 민관 협업 중심으로 방역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가축전염병 발생을 최소화한다.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기반 확대 분야는 저탄소 및 재생에너지 전환과 함께 친환경 농업의 공급 기반 확대에 나선다.

 

송 장관은 “동물복지, 축산, 방역, 환경 분야는 긴밀한 협조가 중요한 분야인 만큼 간담회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협업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정부도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성장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현장소통을 통해 국민의 눈높이에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