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세대를 미리 준비하라.’
글로벌 자동차업계에서 수소차 분야는 전기차 이후를 짊어질 ‘넥스트 레벨’로 손꼽힌다. 현대차는 수소차 분야에서 ‘대응’이 아닌 업계를 ‘선두’해왔다. 다른 업체들이 전기차에 관심을 갖기 전부터 수소차 연구를 착수해 무려 27년 동안 몰두해왔다.
현대자동차는 31일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수소에 대한 신념과 비전 공유의 장 ‘Clearly Committed: 올곧은 신념’ 행사를 가졌다. 이날 내년 상반기 출시될= 수소전기차 콘셉트카 ‘이니시움(INITIUM)’도 최초로 공개했다.
이니시움은 현대차의 수소 메커니즘의 집약체다. 수소와 전기의 힘으로 달리는 수소전기차(FCEV)로써 디자인과 방향성을 보여준 콘셉트 모델이다.
현대자동차 장재훈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27년간 현대차가 흔들림 없이 도전하고 결단할 수 있었던 것은 수소의 가치에 대한 올곧은 신념이 있었기 때문이다”라며 “수소는 미래 세대를 위한 깨끗한 에너지일 뿐 아니라 접근성이 높고, 따라서 공평한 에너지”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자동차는 온 역량과 마음을 다해 올곧은 신념으로 누구나, 모든 것에, 어디에나 수소가 쓰이는 세상을 보여드릴 예정이며 이러한 현대자동차의 수소 여정에 함께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니시움의 어필 포인트는?
이니시움은 현대차가 지향하는 미래 수소 사회 구현 및 디자인 언어를 담아냈다. 라틴어로 ‘시작, 처음’을 뜻하는 단어로, ‘수소 사회를 여는 선봉장’이라는 의미다. ▲수소탱크 저장 용량 증대 ▲에어로다이나믹 휠 적용 ▲구름저항이 적은 타이어 탑재 등을 통해 650㎞ 이상의 주행가능거리를 확보했다. 또한 연료전지시스템과 배터리 성능 향상으로 최대 150kW의 모터 출력을 구현, 도심 및 고속도로에서 보다 향상된 주행 성능을 제공한다.
외관 디자인은 강인한 인상과 단단한 스틸의 장점을 어필했다. 다만 콘셉트카인 만큼 추후 양산모델에서 어떤 변화를 줄지도 관심사다.
뒷좌석 레그룸, 헤드룸을 여유롭게 확보하고 시트백 리클라이닝 각도, 리어도어 오픈 각도를 증대하는 등 넓은 2열 공간을 바탕으로 승객에게 보다 쾌적한 탑승 경험을 제공한다. 수소충전소를 손쉽게 찾기 위한 노력도 담겼다. 목적지까지 수소 충전소를 경유해 갈 수 있는 최적의 루트를 안내해주는 ‘루트 플래너’ 기능을 적용했다.
◆수소전기차 분야…현대차의 헤리티지
이날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현대차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김창환 전무, 국내 수소연료전지 개발 1세대인 현대차 수소연료전지시스템개발담당 최서호 상무 등도 자리했다.
1998년 수소 연구개발을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하고 수소전기차 개발을 시작했다. 이어 2000년 미국의 연료전지 전문 업체 UTC 파워(UTC Power)와 6개월 간 공동 개발을 통해 수소전기차를 처음 선보였으며, 이후 2004년에는 독자 개발 스택을 탑재한 수소전기차를 개발했다. 2005년에는 환경기술연구소(마북연구소)를 설립하며 수소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의 본격적인 양산 체제를 갖추고 ‘투싼ix Fuel Cell’ 수소전기차를 선보였으며, 그로부터 5년 뒤인 2018년에 수소전기차 전용 모델 ‘넥쏘(NEXO)’를 내놨다.

◆정체된 수소전기차시장…그리고 후발주자들의 매서운 추격
지난해 글로벌 수소차 판매량은 1만14451대로 전년 대비 30.2%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4.1% 감소한 5621대다. 현대차는 점유율은 34.7%로 선두였지만 신차를 내놓지 않으면서 지난해 넥쏘의 판매량은 4709대에 그쳤다. 이로써 7년 만에 내놓게 될 수소전기차 이니시움을 통해 왕좌를 지켜낼지 주목된다.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의 추격도 맹렬하다. 일본 토요타를 비롯해 독일 BMW, 중국자동차업계 역시 수소차 분야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토요타와 BMW는 수소차 연구에 협력하기로 했다. 토요타가 수소연료전지를 공급하고 BMW가 주행 관련 부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일본 혼다와 미국 GM은 수소전기차 ‘CR-V e:FCEV’를 합작 개발해 최근 공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