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권 집단대출 3년간 3.1배 증가…12조 돌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농협과 수협, 신협 등 상호금융권의 집단대출 규모가 3년 동안 3배 넘게 늘어나면서 1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상호금융권의 가계 집단대출 잔액은 12조1034억원으로, 3년 전(3조9259억원)과 비교해 3.1배 가까이 늘어났다.

 

 지난 3월 말 가계 집단대출 규모(11조7483억원)와 비교하면 3개월 사이 약 3% 늘었다.

 

 집단대출은 주로 재건축·재개발·분양 등 정비사업에서 조합원과 입주 예정자를 상대로 개별 심사 없이 일괄 승인으로 이뤄지는 여신상품을 뜻한다. 보통 이주비, 중도금, 잔금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신협, 농협, 수협 등 상호금융권은 앞서 지난해 10월 한 차례 집단대출을 중단한 바 있다. 가파른 금리 상승과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반영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부동산 개발 공동 대출과 아파트 집단대출을 멈췄다가 올해 초 다시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집단대출은 대출 규모가 큰 데다 담보물이 안전해 건전성 관리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며 “이러한 차원에서 상반기에 취급 규모가 확대됐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달 금융당국이 개최한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에서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집단대출로 취급된 현황을 지적하면서 증가 폭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50년 만기 주담대는 과잉 대출의 주범으로 꼽히면서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고 있는 상품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공급된 50년 주담대 8조3000억원 가운데 4조5000억원(54.9%)이 집단대출로 취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집단대출 등 가계부채 확대 위험이 높은 장기대출 상품을 취급할 때에는 자체적인 관리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금융권에 전달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