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간 기준금리…향후 인상 속도는

대통령 선거·한은 총재 임기만료 고려시 내달 금통위 동결 유력
상반기 중엔 관망 가능성도…하반기 2회가량 인상 전망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한국은행 제공

[세계비즈=오현승 기자] 기준금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한 가운데 연내 기준금리가 어디까지 오를지 관심이 쏠린다. 금융권에선 한국은행이 금융불균형 위험 및 물가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는 만큼 연내 최소 한 두 차례 이상 기준금리 인상 여지가 있다는 나온다.

 

 17일 한은에 따르면 올해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는 2월24일, 4월14일, 5월26일, 7월14일, 8월25일, 10월14일, 11월24일 등 총 7회 더 열린다. 앞서 지난 14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25bp 올려 1.25%로 운용하기로 결정하면서 기준금리는 코로나19 사태 직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한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던 지난 2020년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50bp 낮추는 ‘빅컷’을 단행했고, 같은해 5월엔 이를 0.5%로 25bp 인하한 바 있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추가 조정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실물경제 상황에 비해서 여전히 통화정책이 완화적인 수준인 데다 금융불균형 위험이 커서 이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 14일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의 경제 흐름과 중립금리 수준, 준칙금리 등 여러 가지 기준으로 비춰보면 만약 기준금리가 1.5%가 된다 하더라도 이를 긴축으로 볼 수는 없다”고 발언했다. 

 

 일단은 2월 금통위에선 기준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크다. 3월 9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와 같은 달 끝나는 한은 총재의 임기만료 등의 이벤트를 고려하면 두 달 연속 금리 인상은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아예 상반기 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없을 거라는 의견도 있다. 이 총재 퇴임 후엔 주상영 금통위원이 금통위 의장 직무를 대행하게 되는데, 총재가 공석인 데다 주 위원이 ‘비둘기파’라는 점이 동결론의 근거다. 또 상반기 마지막 금통위는 5월 26일인데, 22대 대통령이 취임하는 5월10일 이후 곧바로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건 쉽지 않을 거라는 전망도 있다.

 

 게다가 금통위가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추가 조정하는 시기와 관련해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를 새롭게 고려하겠다”고 한 점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이 총재도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에 파급되기까지는 6개월에서 1년이라든가 하는 시차를 두고 실물경제에 나타난다”며 “기준금리를 한 번, 두 번가지고는 이러한 효과를 파악하기 상당히 힘든데, 지난해 8월부터 3차례 올렸기 때문에 이제는 금리인상의 효과를 어느 정도 한번 계측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등 글로벌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 흐름도 관전포인트다.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미 연준은 오는 3월 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연내 3차레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공산이 크다. 일단 1월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으로 한국과 미 연준 기준금리(0.00∼0.25%)와 격차는 1.00∼1.25%포인트로 커진 상태인데, 향후 미국의 통화정책에 따라 금통위 내 원화 가치 하락 방지 및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에 대비해 통화정책의 속도를 조절하자는 목소리가 커질 수도 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한국의 기준금리는 신임 총재 임명 등의 일정이 진행될 예정인 올 2분기까지는 현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다가 3분기에 한 차례 더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연내 기본적으로 1.75%까지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하반기 경기상황에 따라 2.00%까지 인상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