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체제· RCEP 체결’…철강업계, 대형 대외 변수에 촉각

단기간내 통상장벽 낮아지지 않을듯…보호무역주의 기조 유지
트럼프 집권기에 강화됐던 한국산 제품 수출규제 완화 가능성

포스코 광양제철소 제1용광로 쇳물 생산 모습. 포스코 제공

 

[세계비즈=오현승 기자] 철강업계가 미국 대통령 선거 및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출범 등 굵직굵직한 대외 이벤트가 미칠 파급효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향후 관세율 조정 및 교역량 증감 여부 등이 업계의 영업환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바이든 체제’를 두고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우선 미국의 정권교체 후에도 종전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바뀔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오히려 원산지 기준을 강화해 연방 정부가 구매하는 철강재를 종전 수입산에서 미국산으로 대체할 거란 전망도 나온다.

 

 이 경우 철강업계로선 영업여건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국내 철강회사들의 미국향 철강재 수출규모는 지난 2014년 단기 고점을 끝으로 6년 째 감소세다. 이 기간 전체 수출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에서 4%로 쪼그라들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바이든 체제에서 반덤핑 관세 장벽 및 통상 이슈가 상대적으로 완화될 가능성은 일부 있지만, 미국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자국 경제 부양이 최우선 과제인만큼, 단기간 내에 통상장벽을 낮출 확률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당선인이 오는 2025년까지 탄소조정세 법안을 도입하기로 한 점도 업계로선 위협요인이다. 이산화탄소 과다배출 품목에 대해 추가관세 또는 쿼터를 부과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반면 미중 무역분쟁 심화에 따라 단절됐던 ‘한국-중국-미국’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이 복원될 거라는 낙관론도 있다. 유진투자증권은 “트럼프 집권기 철강 및 조립금속 제품을 중심으로 강화됐던 한국산 제품에 대한 수출규제가 보다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RCEP 체결을 두고선 단계적 관세철폐에 따라 아세안(ASEAN) 진출 여력이 높아질 거란 기대가 나온다. 이번 RCEP 체결국 중 일부 국가에서 한국산 봉형강, 강관 및 도금강판 등에 부과하던 수입관세가 RCEP 체결을 통해 철폐되기 때문이다. 국가별로 다른 원산지 규정 등 무역규정이 통일되는 점도 호재다.

 

 한국철강협회는 “RCEP 지역은 한국의 전세계 철강교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철강업계의 매우 중요한 교역대상 지역”이라면서 “이번 RCEP 체결은 역내 자유화 제고를 통한 수출경쟁력 강화는 물론, 한국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對) RCEP 지역 수출액은 약 129억 달러로 전 세계 수출의 47.8%를 차지한다. 수입액은 전체의 81.8%인 120억 달러에 이른다.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