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정빈 선임기자]한국 경제가 올해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순위는 12위에서 9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한국보다 순위가 높은 캐나다, 러시아, 브라질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명목 GDP는 코로나19의 2차 확산이 없을 경우 작년보다 1.8% 감소한 1884조8000억원이 될 전망이다.
OECD가 내놓은 올해 원/달러 환율 전망치(1222.0원)를 토대로 원화 기준 명목 GDP를 미 달러화로 환산해 보면 올해 한국의 명목 GDP는 1조5449억30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OECD가 경제 상황을 전망한 46개국 가운데 아홉 번째로 높다.
지난해 한국의 순위는 브라질(9위), 캐나다(10위), 러시아(11위) 등에 이어 12위였다.
미국은 올해 명목 GDP가 5.7% 감소하더라도 경제 규모가 20조2039억5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13조8338억3000만달러로 2위고 그 다음으론 일본, 독일, 인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순이었다.
미국부터 이탈리아까지 1∼8위 사이 국가는 지난해와 올해 사이에 순위 변동이 없었다.
한편 지난해 3만2115달러였던 우리나라의 1인당 GNI는 환율 상승과 마이너스 성장 위험을 고려하면 1인당 국민소득가 2만달러대로 내려앉을 가능성이 크다.
jblim@segye.com